명절에 꼭 알아야 할 친척 촌수와 호칭 총정리 (설날, 추석 필수 지식)

명절이 다가오면 항상 고민되는 게 있는데요, 바로 오랜만에 만나는 친척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모르는 것!그래서 여러분들이 명절에 꼭 알아야 할 친척 촌수와 호칭 총정리 대해 정리해봤어요. 이 글을 읽고 나면 이번 명절엔 자신 있게 인사할 수 있을 거예요!

촌수 계산법, 이렇게 하면 쉬워요!

촌수 계산, 어렵게만 느껴지셨죠? 사실 간단한 원리만 알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어요.

  1. 부모와 자식 사이는 1촌이에요.
  2. 형제자매는 2촌이 되죠.
  3. 직계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는 1촌씩 더해요.
  4. 옆으로 갈 때는 2촌씩 더해요.

이 원리만 기억하면 대부분의 친척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사촌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나와 부모님(1촌), 부모님과 조부모님(1촌), 조부모님과 삼촌/고모(1촌), 삼촌/고모와 사촌(1촌). 이렇게 1+1+1+1 = 4촌이 되는 거죠!

친가와 외가 호칭, 이것만 알면 됩니다!

친가 호칭

  • 할아버지, 할머니
  • 큰아버지(백부), 큰어머니(백모)
  • 작은아버지(숙부), 작은어머니(숙모)
  • 고모, 고모부
  • 사촌 형제자매

외가 호칭

  •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 외삼촌, 외숙모
  • 이모, 이모부
  • 외사촌 형제자매

참! 요즘은 ‘외’를 붙이는 것이 차별적이라는 의견도 있어서, 그냥 할아버지, 할머니로 통일해서 부르는 추세예요.

결혼 후 달라지는 호칭, 어렵지 않아요!

결혼하고 나면 갑자기 늘어나는 친척들 때문에 호칭이 더 복잡해지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기본만 알면 됩니다!

남편이 처가 식구들을 부를 때

  • 장인어른, 장모님
  • 처남(아내의 남자 형제)
  • 처형(아내의 언니), 처제(아내의 여동생)

아내가 시댁 식구들을 부를 때

  • 시아버님, 시어머님
  • 시누이(남편의 여자 형제)
  • 아주버님(남편의 형), 서방님(남편의 남동생)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관계남편이 부르는 호칭아내가 부르는 호칭
배우자의 아버지장인어른시아버님
배우자의 어머니장모님시어머님
배우자의 형/오빠형님아주버님
배우자의 누나/언니처형형님
배우자의 남동생처남서방님
배우자의 여동생처제아가씨

요즘 트렌드는 간단하고 평등한 호칭!

최근에는 복잡한 호칭 대신 간단하고 평등한 호칭을 사용하는 추세예요. 예를 들어..

  • ‘외’를 붙이지 않고 모든 조부모를 ‘할아버지, 할머니’로 통일
  • 삼촌, 고모, 이모를 구분하지 않고 그냥 ‘이모’로 통일
  • 나이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 언니/오빠’로 부르기

이런 식으로 부르면 훨씬 편하고 친근감 있게 느껴진답니다.

마무리: 이제 명절이 두렵지 않아요!

지금까지 명절에 꼭 알아야 할 친척 촌수와 호칭 총정리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 친척 호칭에 대해 잘 알게 되셨나요? 이 정도만 알아도 명절에 친척들을 만날 때 당황하지 않고 자신 있게 인사할 수 있을 거예요. 물론 집안마다 조금씩 다른 호칭을 사용할 수 있으니, 부모님께 미리 여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명절은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정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에요. 호칭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말고, 맛있는 음식도 먹고 즐거운 대화도 나누면서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모두 즐거운 명절 되세요!

자주 묻는 질문 (Q&A)

  1. Q: 사촌의 자녀는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A: 사촌의 자녀는 ‘재종(再從)’이라고 해요. 나이 차이가 크다면 ‘조카’라고 부르기도 해요.
  2. Q: 남편의 사촌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A: 보통 ‘사촌 형님/언니’ 또는 나이 차이가 크지 않다면 그냥 이름을 부르기도 해요.
  3. Q: ‘당숙’과 ‘종숙’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둘 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뜻하는데, ‘당숙’은 좀 더 격식 있는 표현이에요.
  4. Q: 처가나 시댁 친척들을 처음 만날 때 주의할 점이 있나요?
    A: 처음에는 조금 더 격식 있는 호칭을 사용하고, 친해지면 자연스럽게 편한 호칭으로 바꾸는 게 좋아요.
  5. Q: 친가와 외가의 같은 촌수 친척을 다르게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A: 전통적으로 부계 중심 사회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요즘은 차이를 두지 않는 추세예요.
  6. Q: 돌아가신 친척을 지칭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고(故)’ 또는 ‘돌아가신’을 앞에 붙여서 표현해요. 예: 고 할아버지, 돌아가신 큰아버지
  7. Q: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사촌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A: 나이 차이가 많이 나면 ‘삼촌’ 또는 ‘이모’로 부르는 경우도 있어요.
  8. Q: 결혼 후 시댁/처가 친척들의 호칭이 헷갈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배우자나 시부모님, 처부모님께 미리 여쭤보는 게 가장 좋아요.
  9. Q: 외국인 배우자의 가족은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A: 보통 한국식 호칭을 영어로 번역해서 부르거나, 상대방 문화의 호칭을 사용해요.
  10. Q: 호칭을 잘못 사용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솔직히 사과하고 올바른 호칭을 물어보세요. 대부분 이해해 주실 거예요.

함께 보면 좋은 글